1.로딩 로고 관리
아래이미지는 로고이미지입니다.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하여 편집버튼클릭후, 속성탭에서 이미지를 변경 해주세요.

  • 로딩이미지.  
  • 1.로고 관리
    아래이미지는 로고이미지입니다.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하여 편집버튼클릭후, 속성탭에서 이미지를 변경 해주세요.

    2.메인 이미지 관리
    아래이미지들이 메인이미지입니다.
    변경원하는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하여 편집버튼클릭후, 속성탭에서 이미지를 변경하거나 링크를 연결해주세요.
    링크를 연결하고 싶지않다면 링크기입란에 #(샵기호)를 기입해주세요.

  • PC 사용이미지입니다.
  • PC 사용이미지입니다.
  • PC 사용이미지입니다.
  • MO 사용이미지입니다.
  • MO 사용이미지입니다.
  • MO 사용이미지입니다.
  • 2.메인이미지 관리
    아래이미지들이 메인이미지입니다.
    변경원하는 이미지에 마우스 오버하여 편집버튼클릭후, 속성탭에서 이미지를 변경해주시기 바랍니다.

  • 메인1번이미지입니다.
  • 메인2번이미지입니다.
  • 3.SNS 관리
    아래이미지들이 SNS입니다.
    링크를 연결할 아이콘에 마우스 오버하여 편집버튼클릭후, 속성탭에서 링크만 연결해주세요.
    링크를 연결하고 싶지않다면 링크기입란에 #(샵기호)를 기입해주세요(자동 사라집니다.)

  • COLUMN

    제목

    편리성과 예술성 갖춘 ‘공공디자인’

    평점 0점  

    추천 추천하기

    내용

    오늘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공공 디자인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한다. 예전에 흔히 공공시설물이라고 불리던 것들이 디자인이라는 컨셉과 문화가 담기면서 대중에게 좀 더 친숙하게 다가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디자인은 아직은 공공 시설물, 즉 필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세운 느낌이거나 일단 급하게 처리해서 얼마 안 가 바로 문제가 제기되는 경우가 많다. 공공 디자인은 거리의 아름다운 부분을 하는 것과 동시 시설물의 크기가 큰 만큼 시공 전 사전 계획이 좀더 치밀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문화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삭제시키는 만큼 많은 비용이 발생되며 그 또한 쓰레기를 만드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배수로의 필요한 기능과 그 기능을 이용한 아이들의 놀이 공간… 공공 시설물이 좀더 아름답게 보여지는 현상이 아닐까?


    차는 이미 들어와 있다. 차가 가진 기호적 형태와 크기로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그 형태를 이용해 자전거를 주차하도록 한 센스!


    멋진 펜스 아닌가? 이게 바로 공공 디자인의 힘이다. 거리의 작품이다.


    위와 비슷한 컨셉의 디자인으로 거리의 공사 중에 쓰는 펜스를 좀 더 여유 있게 바꿔 놓으면서 새로운 기호를 전달하고 문화를 만들고 있다.


    저렇게 생긴 파이프 위에 앉아본 경험은 이미 많을 것이다. 그때마다 좀 더 편했으면 하던 기억…


    왕사탕! 주차비 정산기 이다.
    거리의 의자나 펜스 등을 흔히 스트리트 퍼니쳐라고 한다. 말 그대로 거리 속 가구이다. 그럼 실내에 있던 가구가 밖으로 나와있다면? 한번쯤 생각해 볼만하지 않을까?


    놀이터의 의자로 설치했지만 아이에겐 또 다른 놀이기구로 사용될 수도 있고 어른들에게는 단조로운 거리에 컬러풀한 물감을 풀어놓은 듯, 한결 더 부드럽게 만들어 줄 것이다.


    “엄마! 나도 잡고싶어!” 어딘가 한 칸은 아이들을 위한 배려도 있으면 좋겠다.


    위 두 사진들은 본인이 밀라노 전시에 갔을 때 베니스에서 찍은 사진으로 건물 외각을 보수하는 동안의 건물 모습이다. 우리나라의 공사 중 팬스나 가림막과는 좀 차이가 많이 나는 듯해 아쉽다.


    나무 밑 평상… 그늘 모양을 따아 만든 것으로 자연과의 조화에 좀더 아름답게 접근한 듯 하다.


    이 작품은 필자가 예전에 실험한 것으로 스트리트 퍼니쳐의 새로운 개념을 제안한 것으로 보도 블록의 자율화?


    어려운 환경에서라고 공공 시설물이 없으리라는 법은 없다. 위 작품은 디자이너가 파이프 하나로 시민을위해 만든 벤치를 연출하였다.


    바퀴의 둥근 부분을 이용한 자전거 거치대.


    마지막으로 소개하는 분수. 시간의 흔적, 인간의 흔적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생겨난 거리의 움푹 파인 곳에 고인 물은 다들 많이 봐 왔을 것이다. 이러한 부분을 뜯어내고 새로 고치는 것은 다들 당연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부분을 새롭게 다시 해석함으로서 정말 찾아보기 힘든 하나의 분수로 새이름을 가졌다. 공공시설물이 낡았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바꾸는 것은 분명 아주 많이 고민해 봐야 할 것이다. 기존의 것을 무시하지 말고 한번더 생각하고 세상이원하고 우리가 원하는 것은 과연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본다면 좀더 좋은 거리가 탄생되리라 본다.
    돈을 주체할 수 없어 무조건 멀쩡한 도로를 갈아 엎지는 말고 말이다.

                   

    비밀번호
    수정

    비밀번호 입력후 수정 혹은 삭제해주세요.